본문 바로가기
라이프/일반정보

부동산 중개수수료 복비 계산방법

by 세상 모든 무료 꿀팁 2025. 3. 31.

목차

 

     

     

    집을 사거나 팔 때 아니면 전세나 월세 계약할 때 꼭 거쳐야 하는 게 바로 부동산 중개수수료 흔히 "복비"라고 부르는 그 비용이에요. "이거 얼마나 내야 하지?"라는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텐데요. 복비는 부동산 거래에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이라 제대로 알아두면 돈도 아끼고 마음도 편해집니다. 이 글에서는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 방법을 쉽게 풀어보고 계약할 때 주의할 점과 꿀팁까지 담아봤어요. 부동산 거래 앞두고 있다면 끝까지 읽어보세요!

     

    부동산 중개수수료 복비 계산방법

     

    부동산 중개수수료(복비)란?

    복비는 부동산 중개업소나 공인중개사가 매매 임대차 계약을 성사시켜준 대가로 받는 수수료예요. 쉽게 말해 집 구할 때 중개사가 발품 팔아준 값이죠. 이건 법으로 정해진 요율이 있어서 함부로 부풀릴 수는 없지만 거래 금액이나 계약 종류에 따라 달라져서 미리 계산법을 아는 게 중요합니다.
    2025년 기준으로도 여전히 「공인중개사법」과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요율이 정해져 있고 지역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.

     

    복비 계산 방법

    복비는 거래 금액거래 유형(매매/임대)에 따라 달라져요.

    거래 금액에 정해진 요율을 곱해서 계산하는데 상한선이 있어서 중개사가 마음대로 더 받을 수는 없답니다.

    아래에서 매매와 임대차로 나눠서 쉽게 설명해볼게요.

     

    1. 매매 복비 계산

    집을 사거나 팔 때 적용되는 요율이에요. 거래 금액 구간별로 상한 요율이 달라요

     

    • 5천만 원 미만: 0.6% (최대 25만 원)
    • 5천만 원 이상 ~ 2억 원 미만: 0.5% (최대 80만 원)
    • 2억 원 이상 ~ 6억 원 미만: 0.4%
    • 6억 원 이상 ~ 9억 원 미만: 0.5%
    • 9억 원 이상: 0.9% (협의 가능)

     

    예시: 5억 원짜리 집을 매매했다고 해보면
    5억 × 0.4% = 200만 원.
    이게 기본 복비가 되는 거예요.

     

    매매복비계산매매복비계산

     

    2. 임대(전세/월세) 복비 계산

    전세나 월세는 보증금과 월세를 합쳐서 계산해요.

     

    • 전세: 전세 보증금에 요율 적용.
    • 월세: 보증금 + (월세 × 100)으로 "환산 보증금"을 계산한 뒤 요율 적용.
      요율은 매매와 비슷해요:
    • 5천만 원 미만: 0.5% (최대 20만 원)
    • 5천만 원 이상 ~ 2억 원 미만: 0.4% (최대 70만 원)
    • 2억 원 이상 ~ 6억 원 미만: 0.3%
    • 6억 원 이상 ~ 9억 원 미만: 0.4%
    • 9억 원 이상: 0.8% (협의 가능)

     

    예시: 전세 보증금 3억 원이라면
    3억 × 0.3% = 90만 원.
    월세가 보증금 1천만 원 + 월세 100만 원이라면
    환산 보증금 = 1천만 + (100만 × 100) = 1억 1천만 원,
    1억 1천만 × 0.4% = 44만 원.

     

    복비 요율과 상한액 표

    거래 금액 매매 요율 매매 상한액 임대 요율 임대 상한액
    5천만 원 미만 0.6% 25만 원 0.5% 20만 원
    5천만 원 ~ 2억 원 0.5% 80만 원 0.4% 70만 원
    2억 원 ~ 6억 원 0.4% - 0.3% -
    6억 원 ~ 9억 원 0.5% - 0.4% -
    9억 원 이상 0.9% (협의) - 0.8% (협의) -

     

     

    복비 계산기 활용

    앱스토어에서 "복비 계산기" 검색해도 무료 앱이 많으니 한 번 써보세요.


     

    복비계산기 (중개수수료계산기, 부동산 중개보수계산기) - Google Play 앱

    계약 형태(매매, 전세, 월세)와 매매 대상(주택, 오피스텔, 분양권, 토지, 상가등)에 따라 쉽고 빠르게 부동산 중개 수수료를 계산해요.

    play.google.com

     

     

    부동산 계약 시 복비 관련 주의사항

    복비 내는 게 당연한 거긴 하지만 몇 가지 조심할 점이 있어요. 실수하면 억울하게 돈 더 내거나 분쟁 생길 수도 있거든요.

    부동산 계약 시 복비 관련 주의사항부동산 계약 시 복비 관련 주의사항

     

    1. 요율 초과 요구 조심

    법정 상한 요율보다 더 내라고 하면 안 됩니다. 예를 들어 1억 원 전세면 최대 70만 원인데 100만 원 달라고 하면 과도한 거예요. 계약서에 복비 금액 명시하고 이상하면 국토교통부 민원24에 신고하세요.

    2. 계약 불발 시 복비 여부

    집 보러 다니다 계약까지 안 가면 복비 안 내도 돼요. 중개사가 "집 보여줬으니 돈 내라" 해도 법적으로 계약 성사 시에만 수수료 청구 가능하니까 걱정 마세요.

    3. 중개사와 사전 협의

    9억 원 이상 고가 거래는 요율 협의가 가능해요. "0.9% 너무 비싸다" 싶으면 0.7~0.8%로 깎아달라고 해보세요. 경쟁이 치열한 지역에선 중개사가 받아줄 확률 높아요.

    4. 영수증 꼭 챙기기

    복비 내면 반드시 영수증 받아두세요. 나중에 분쟁 생기거나 세금 신고할 때 증빙으로 필요할 수 있거든요.

     

     

    복비 아끼는 꿀팁

    복비를 조금이라도 줄이고 싶다면 몇 가지 팁이 있어요. 부동산 거래하면서 돈 아끼는 방법 같이 알아볼까요?

    1. 직접 발품 팔기

    온라인으로 네이버 부동산이나 다방에서 매물 찾아보고 직거래 가능한 집주인과 연결하면 복비 0원! 시간은 좀 걸리지만 큰돈 절약할 수 있어요.


     

    부동산 필수 앱 다방

    원룸, 투룸, 오피스텔, 아파트까지 내가 원하는 방, 다방에 다 있다!

    www.dabangapp.com

     

    2. 중개사 여러 곳 비교

    동네 부동산마다 수수료 살짝 다를 수 있어요. 전화 돌려서 "3억 전세인데 복비 얼마예요?" 물어보고 제일 저렴한 곳으로 가세요. 특히 신규 개업소는 할인해 줄 가능성 높아요.

    3. 계약 시기 조정

    비수기(겨울철, 장마철)에 이사하면 중개사도 손님 적어서 복비 깎아줄 확률이 커요. 손 없는 날 같은 피크 시즌은 피하는 게 좋을 수도 있죠.


     

    손 없는 날 뜻, 이사하기 좋은 날(+이사견적,전입신고)

    목차    이사를 준비하면서 "손 없는 날"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? 이사는 단순히 짐을 옮기는 일을 넘어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이벤트입니다. 그래서인지 많은 사람들이 이

    dansool-dasagosiper.tistory.com

     

    4. 공동 중개 활용

    매도자와 매수자 모두 같은 중개사를 쓰면 복비를 나눠 낼 수 있어요. 예를 들어 5억 매매면 총 200만 원인데 양쪽이 100만 원씩 부담하는 식이에요. 미리 협의하세요!

     

     

    실제 사례와 경험담

    • 김모 씨(34세): "4억 전세 계약했는데 복비 120만 원 내라길래 계산해 보니 120만 원이 맞더라고요. 그래도 좀 깎아서 100만 원에 합의했어요."
    • 박모 씨(42세): "직거래로 월세 구해서 복비 안 냈는데 계약서 꼼꼼히 안 봐서 나중에 보증금 문제 생겼어요. 중개사 썼으면 편했을 뻔."

     

    복비 계산하고 똑똑하게 거래하세요!

   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계산법만 알면 누구나 쉽게 알아낼 수 있어요. 매매든 임대든 거래 금액에 요율 곱하면 끝! 하지만 계약할 때 요율 초과나 불필요한 비용 안 내도록 주의하고 꿀팁 써서 조금이라도 아껴보세요.
    부동산 거래 앞두고 있다면 앞에서 말씀드린 여러 방법으로 미리 계산해 보고 중개사랑 협의도 잘해보시길 바래요. 이사 후 새집에서 행복한 시작 복비 걱정 없이 누리시길...